반응형

 

ITEM 36 "비트 필드 대신 EnumSet 을 사용하라"

예전에는 열거한 값들을 집합으로 사용할 경우, 서로 다른 2의 거듭제곱 값을 할당한 정수 열거 패턴을 주로 사용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집합은 비트 필드라고 부르고, 적은 메모리로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어 프로그래밍 문제에서 자주 사용하곤 한다.

 

public class Text {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BOLD = 1 << 0;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ITALIC = 1 << 1;
    public static final int STYLE_UNDERLINE = 1 << 2;
    
    public void applyStyles(int styles) { }
}

 

하지만 이런 기법은 정수 열거 패턴의 단점을 그대로 지니고, 해석하기가 어렵다. 비트 필드 값을 순회하기에도 까다롭고, 

최대 몇 비트가 필요할 지 예상해야 한다. 구현 로직을 변경하지 않고서 비트 수를 더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타입을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제는 java.util.EnumSet 클래스를 사용하자.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했으며, 타입 안전하고, EnumSet 내부도 비트 벡터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비트를 직접 다룰 때 생기는 각종 오류들로부터 해방시키고 구현에 구애받지 않고 개발할 수 있어 생산성도 높다.

 

public class Text {
    public enum Style { BOLD, ITALIC, UNDERLINE, STRIKETHROUGH };
	
    // EnumSet 보다 인터페이스인 Set 을 넘겨 다른 구현체를 넘겼을 때도 처리할 수 있게 하자. 
    public void applyStyles(Set<Style> styles) {
        ....
    }
}

// 사용부
Text text = new Text();
text.applyStyles(EnumSet.of(Style.BOLD, Style.ITALIC));

 

"열거 타입을 집합형태로 사용할 때는 EnumSet 을 사용하자.

하지만 아직까지도 불변 EnumSet 을 만들 수는 없다.

불변 EnumSet 을 사용하고 싶다면 구글의 구아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자"

반응형
반응형

ITEM 35 "ordinal 메서드 대신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하라"

자바 열거 타입에서는 몇 번째 위치를 반환하는 ordinal 메서드를 제공한다.

EnumSet 이나 EnumMap 과 같이 열거 타입 기반의 자료구조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메서드이다. 하지만 이 메서드를 프로그래머가 임의의 메서드에서 사용한다면 오동작할 수 있다.

 

public enum Ensemble {
	SOLO, DUET, TRIO, QUARTET, QUINTET,
    SEXTET, SEPTET, OCTET, NONET, DECTET;
	
    // 아래처럼 사용하면 안 된다.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ordinal() + 1; }
}

 

상수 선언 순서를 바꾸는 순간 오동작하는 코드이며, 이미 사용 중인 정수와 값이 같은 상수라면 추가할 방법이 없다.

값을 중간에 비워둘 수도 없다. 차라리 아래와 같이 선언과 동시에 인스턴스 필드에 저장하면 된다.

 

public enum Ensemble {
	SOLO(1), DUET(2), TRIO(3), QUARTET(4), QUINTET(5),
    SEXTET(6), SEPTET(7), OCTET(8), NONET(9), DECTET(10);
	
    private final int numberOfMusicians;
    Ensemble(int size) { this.numberOfMusicians = size; }
    public int numberOfMusicians() { return nubmerOfMusicians; }
}
반응형
반응형

ITEM 34 "int 상수 대신 열거 타입을 사용하라"

자바에서 열거 타입을 지원하기 전에는 아래와 같이 정수 상수를 한 묶음으로 선언하여 사용하였다. 

 

정수 열거 패턴

public static final int V3_INFO = 0;
public static final int V3_UPDATE = 1;
public static final int V3_SCAN = 2;

public static final int ALYAC_INFO = 0;
public static final int ALYAC_UPDATE = 1;
public static final int ALYAC_SCAN = 2;

 

하지만 이런 정수 열거 패턴은 아래와 같은 단점들이 있다.

 

1. 타입 안전을 보장할 방법이 없으며 표현력도 좋지 않다.

정수 열거 패턴을 위한 이름 공간(namespace) 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상수값을 사용하는 변수들이 모두 같은 값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코드에서 V3_INFO 와 ALYAC_INFO 값이 같은 값으로 인식된다. V3 관련 메서드에서 ALYAC 상수 값을 사용해도 컴파일러가 오류/경고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또한 이름 공간(namespace) 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접두사를 붙여 변수 네이밍을 해야한다는 점도 단점이다.

 

2. 정수 열거 패턴을 사용한 프로그램은 깨지기 쉽다.

평범한 상수를 나열한 것 뿐이라 컴파일하면 해당 값이 클라이언트 파일에 하드코딩된다. 만약 상수의 값이 바뀌면 반드시 다시 컴파일 해서 재배포해야 한다. 다시 컴파일되지 않은 클라이언트 파일이 서버에서 변해버린 상수 값을 받을 때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3. 정수 상수는 문자열로 출력하기 어렵다.

public static final int V3_INFO = 0;
System.out.println(V3_INFO); // 문자열이 아닌 의미 없는 상수 출력

 

그렇다고 문자열 열거 패턴을 사용하면 안 된다.

문자열 값을 하드 코딩하는데 오타가 발생하면 자연스레 런타임 오류가 발생한다. 심지어 문자열 상수들을 비교할 때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4. 같은 정수 열거 그룹에 속한 모든 상수를 한 바퀴 순회하는 방법도 마땅치 않다.

열거 그룹에 속한 정수 갯수가 총 몇 개인지 알 수 없어 순회하기도 힘들다.

 

이런 정수 열거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고 여러 장점들을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열거 타입(Enum Type) 이다.

 

열거 타입

다른 언어와 다르게 자바에서 열거 타입은 클래스이며 사실상 싱글톤 객체이다.

열거 상수 하나당 자신의 인스턴스를 하나씩 만들어 public static final 필드로 공개하는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생성자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final class 이며 클라이언트가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하거나 확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열거 타입 선언으로 만들어진 인스턴스들은 딱 하나씩만 존재한다.

 

public enum WeekDay {
    MONDAY(0),
    TUESDAY(1),
    WEDNESDAY(2),
    THURSDAY(3),
    FRIDAY(4),
    SATURDAY(5),
    SUNDAY(6);

    private final int value;

    WeekDay(int value) {
        this.value = value;
    }
}

 

1. 열거 타입은 컴파일타임 타입 안전성을 제공한다.

public static final int MONDAY = 0;

void test() {
    enumTest(MONDAY); // 컴파일 오류
    enumTest(WeekDay.MONDAY); // 정상 동작
}

private void enumTest(WeekDay weekDay) {

}

 

다른 타입의 값을 인자로 받았을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타입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2. 열거 타입에는 각자의 이름공간(namespace)이 있어서 이름이 같은 상수도 선언할 수 있다.

enum V3 { INFO, UPDATE, SCAN; }
enum ALYAC { INFO, UPDATE, SCA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s.stream(V3.values())
        .forEach(System.out::println);
    Arrays.stream(ALYAC.values())
        .forEach(System.out::println);
}

 

또한 열거 타입에 새로운 상수를 추가하거나 순서를 바꿔도 다시 컴파일 하지 않아도 된다.

 

3. 열거 타입은 toString 메소드를 지원한다.

기본적으로 선언된 상수 이름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4. 열거 타입에는 임의의 메소드나 필드를 추가할 수 있고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게 할 수도 있다.

public enum WeekDay {
    MONDAY(0),
    TUESDAY(1),
    WEDNESDAY(2),
    THURSDAY(3),
    FRIDAY(4),
    SATURDAY(5),
    SUNDAY(6);

	//임의의 필드
    private final int value;

    WeekDay(int value) {
        this.value = value;
    }

	//임의의 메소드
    public void test() {
    }
}

 

상수 값들과 연관된 데이터들이나 계산 과정들을 enum 객체 안에다 모두 담을 수 있어 코드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참고로 클래스로써 Object 메소드들을 지원하고 Comparable, Serializable 도 구현해두었다.

 

직접 구현해보면서 테스트해보자.

 

테스트

public enum Planet {
    MERCURY(3.302e+23,2.439e6),
    VENUS(4.869e+24,6.052e6),
    EARTH(5.975e+24, 6.378e6),
    MARS(6.419e+23,3.393e6),
    JUPITER(1.899e+27,7.149e7),
    SATURN(5.685e+26,6.027e7),
    URAUS(8.683e+25,2.556e7),
    NEPTUNE(1.024e+26,2.477e7);

    private final double mass;
    private final double radius;
    //표면중력
    private final double surfaceGravity;

    //중력상수
    private static final double G = 6.67300E-11;

    Planet(double mass, double radius) {
        this.mass = mass;
        this.radius = radius;
        this.surfaceGravity = G * mass / (radius * radius);
    }

    public double mass() {
        return mass;
    }

    public double radius() {
        return radius;
    }

    public double surfaceGravity() {
        return surfaceGravity;
    }
    
    public double surfaceWeight(double mass) {
        return mass * surfaceGravity;
    }
}

 

Planet Enum 은 행성들의 질량, 반지름, 표면중력 상수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집합이다.

상수인 질량과 반지름이 주어졌을 때 표면중력 상수 또한 변하지 않는 값으로 계산할 수 있는 상수 값이다.

표면중력도 마찬가지. 질량, 반지름, 표면중력 상수 값들을 토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 상수 값이다. 이와 같이  Enum 은 상수들과 연관된 상수 값들을 연산할 수 있는 메서드를 한 공간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열거 타입은 자신 안에 정의된 상수들을 배열에 담아 반환하는 values() 메소드를 제공한다. 상수들은 선언된 순서대로 저장된다.

 

for (Planet p : Planet.values()) {
	System.out.printf("%s 에서의 무게는 %f 이다. %n", p, p.surfaceWeight(mass));
}

 

열거 타입의 toString 메소드는 상수 이름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또한 toString 메소드를 재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public enum Planet {
    // ...중략...
    
    //재정의한 toString, 이름을 소문자로 출력한다.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this.name().toLowerCase();
    }
}

 

열거 타입의 장점은 열거 타입에 선언한 상수 하나를 제거하더라도 제거한 상수를 참조하지 않는 클라이언트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반대로 제거된 상수를 참조한 클라이언트는 컴파일 타임 때 에러가 발생하고 컴파일 하지 않은 클라이언트에서는 런타임 에러가 발생한다.

 

열거타입의 패턴

위 테스트에서는 단순히 상수 값들을 데이터들과 연관지었지만 만약 열거 타입의 메서드가 상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해야 한다면 아래 패턴들을 참고해볼 수 있다.

 

상수별 메소드 구현

간단하게 if 나 switch 문으로 조건문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안티패턴이다.

새로운 상수가 추가된다면 case 문도 추가해야 한다. 데이터가 추가 될 때 부수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로직 변경이 있다면 OCP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

 

public enum Operation {
    PLUS,MINUS,TIMES,DIVDE;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switch (this) {
            case PLUS:
                return x + y;
            case MINUS:
                return x - y;
            case TIMES:
                return x * y;
            case DIVDE:
                return x / y;
        }
        throw new AssertionError("알 수 없는 연산:" + this);
    }
}

 

여기서 상수별 메소드 구현을 사용하면 조금 더 나은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수별 메소드 구현은 열거 타입에 추상 메소드를 선언하고 각 상수별로 클래스 몸체를 자기자신이 재정의하는 방법이다.

 

public enum Operation {
    PLU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MINU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TIMES("*")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DIVDE("/") {
        public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return x / y;
        }
    };

    private final String symbol;

    Operation(String symbol) {
        this.symbol = symbol;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symbol;
    }

    public abstract double apply(double x, double y);
}

 

참고로 열거 타입엔 상수 이름을 입력받아 그 이름에 해당하는 상수를 반환해주는 valueOf(String) 메소드가 자동 생성된다. 

toString 메소드를 재정의했다면, toString이 반환하는 문자열을 해당 혈거 타입 상수로 변환해주는 fromString 메소드도 함께 제공하는 걸 고려해보자. 위의 코드에서 toString 메소드를 재정의해 기존 상수의 이름이 아닌 각 연산자의 기호를 반환하도록 구현하였다.
반대로 fromString 메소드를 구현하여 연산자 기호를 매개변수로 전달하면 알맞은 열거 타입 객체를 반환하도록 해보자

 

private static final Map<String, Operation> stringToEnum =
            Stream.of(Operation.values())
                    .collect(Collectors.toMap(Operation::toString, operation -> operation));

//Optional로 반환하여 값이 존재하지않을 상황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린다.
public static Optional<Operation> fromString(String symbol) {
    return Optional.ofNullable(stringToEnum.get(symbol));
}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Map에 Operation 상수가 추가되는 시점이다. Operation 상수들은 정적 필드가 초기화되는 시점에 추가된다.
열거 타입에서 정적 필드는 열거 타입 상수가 생성된 후에 초기화 된다. 그렇기 때문에 열거 타입 생성자에서 정적 필드를 참조하려고 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만약, putString 이라는 메소드를 생성자에서 Map 에 추가하려고 하면 어떻게 될까?

 

Operation(String symbol) {
    this.symbol = symbol;
    putString(symbol,this);
}

public void putString(String symbol, Operation operation) {
    stringToEnum.put(symbol,operation);
}

 

NullPointerException 이 발생한다.

 

열거 타입의 정적 필드 중 열거 타입의 생성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상수 변수뿐이다. 또한 열거 타입 생성자에서 같은 열거 타입의 다른 상수에도 접근할 수 없다.

 

전략 열거 타입 패턴


여기서부터는 사실 전략 패턴에 대한 내용이다.


상수별 메소드 구현에는 열거 타입 상수끼리 코드를 공유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ublic enum PayrollDay {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SUNDAY;

    private static final int MINS_PER_SHIFT = 8 * 60;

    int 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
        //기본 급여
        int basePay = minutesWorked * payRate;
		//잔업수당
        int overtimePay;
        switch (this) {
        	//주말
            case SATURDAY:
            case SUNDAY:
                overtimePay = basePay / 2;
                break;
            //주중
            default:
                overtimePay = minutesWorked <= MINS_PER_SHIFT ?
                        0 : (minutesWorked - MINS_PER_SHIFT) * payRate / 2;
        }

        return basePay + overtimePay;
    }
}

 

만약, 휴가와 같은 새로운 상수가 추가된다면 휴가에 맞는 급여를 처리하는 case 문을 추가해 주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잔업수당 계산을 private 중첩 열거 타입으로 위임하고 PayrollDay 열거 타입 생성자에서 적절한것을 선택하면 된다.

 

public enum PayrollDay {
    MONDAY(PayType.WEEKDAY),
    TUESDAY(PayType.WEEKDAY),
    WEDNESDAY(PayType.WEEKDAY),
    THURSDAY(PayType.WEEKDAY),
    FRIDAY(PayType.WEEKDAY),
    SATURDAY(PayType.WEEKEND),
    SUNDAY(PayType.WEEKEND);
    
    private final PayType payType;

    PayrollDay(PayType payType) {
        this.payType = payType;
    }

    int 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
        return payType.pay(minutesWorked,payRate);
    }

    private enum PayType {
        WEEKDAY {
            int overtime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
                return minutesWorked <= MINS_PER_SHIFT ?
                        0 : (minutesWorked - MINS_PER_SHIFT) * payRate / 2;
            }
        },
        WEEKEND {
            int overtime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
                return minutesWorked * payRate / 2;
            }
        };

        abstract int overtime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private static final int MINS_PER_SHIFT = 8 * 60;

        int pay(int minutesWorked, int payRate) {
            int basePay = minutesWorked * payRate;
            return basePay + overtimePay(minutesWorked,payRate);
        }
    }
}

 

비로소 PayrollDay 열거 타입은 기존의 switch를 사용한 코드보다 더 안전하고 유연해졌다.

그런데 switch 문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기존 열거 타입에 상수별 동작을 혼합해 넣을 때 이다.
아래와 같이 Operation 열거 타입에서 각 연산의 반대 연산을 반환하는 메소드가 필요할 때이다.

 

 

"필요한 원소를 컴파일 타임에 알 수 있는 상수 집합이라면 항상 열거 타입을 사용하자. 

열거 타입은 나중에 상수가 추가돼도 바이너리 수준에서 호환되도록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상수 개수가 항상 고정일 필요는 없다."

반응형
반응형

groupingBy

groupingBy 는 Java Stream collect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Collector 객체이자 특정 속성(property) 값에 의해서 그룹핑을 짓는 메서드이다. 결과값으로 항상 Map<K, V> 형태를 리턴하며 아래와 같이 최대 3가지 파라미터를 받을 수 있다. 두 가지 인수만 사용된다면 classifier 와 downstream 만 사용한다.

  1. classifier (Function<? super T, ? extends K>): 분류 기준을 정의한 함수
  2. mapFactory (Supplier<M>): 결과 값 Map<K,V> 를 다른 Object 로 맵핑하는 함수
  3. downStream (Collector<? super T,A,D>): 집계 방식을 변경하는 또 다른 Collector 객체로 결과 값 Map<K,V> 에서 V 의 타입을 변경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식 DOCS 문서를 참고한다.

Collectors (Java Platform SE 8 ) (oracle.com)

 

Collectors (Java Platform SE 8 )

Returns a Collector implementing a "group by" operation on input elements of type T, grouping elements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function, and returning the results in a Map. The classification function maps elements to some key type K. The collector p

docs.oracle.com

 

groupingBy 예제

아래와 같이 Person 타입이 있다고 가정할 때 다양한 groupingBy 예제를 살펴보고 정리한다.

@AllArgsConstructor
@Setter
public stat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city;
        private Integer age;
        private PersonJob personJob;
}

public static class PersonTuple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city;

        public PersonTuple(String name, String city) {
            this.name = name;
            this.city = city;
        }
}

 

private static List<Person> getPersons() {
        return List.of(
            new Person("안유진", "서울", 20, PersonJob.ARMY),
            new Person("리즈", "서울", 22, PersonJob.STUDENT),
            new Person("레이", "도쿄", 19, PersonJob.STUDENT),
            new Person("가을", "수원", 18, PersonJob.EMPLOYEE),
            new Person("장원영", "수원", 20, PersonJob.POLICE),
            new Person("이서", "청주", 18, PersonJob.POLICE)
        );
}

 

단일 키로 그룹핑하기

var result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getCity));

Map<String, List<Person>> 객체로 리턴되고, 수원, 서울, 청주, 도쿄 키로 Person 객체로 그룹핑된다.

 

복합 키로 그룹핑하기

public static class PersonTuple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city;

        public PersonTuple(String name, String city) {
            this.name = name;
            this.city = city;
        }
}
var result2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 -> new PersonTuple(person.getName(), person.getCity())));

Map<PersonTuple, List<Person>> 객체로 리턴되고, 위에 정의된 Tuple 로 Person 객체가 그룹핑된다.

 

집계 변경해서 그룹핑하기 (toSet)

var result3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getPersonJob, toSet()));

groupingBy 를 적용했을 때 기본 Value 타입은 리스트다. 위 예제처럼 toSet 로 집계함수를 변경하면,

Map<Person, Set<Person>> 객체로 리턴된다.

 

집계 변경해서 통계 그룹핑하기 (sum)

단순히 타입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 reduce 같은 함수로 통계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다.

var result4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getPersonJob, summingInt(Person::getAge)));

downStream 방식을 summingInt 메서드로 합계를 낸 예제이다. 직업을 기준으로 Person 객체를 그룹핑했을 때 그 객체 나이들을 전부 더해서 산출한다. 리턴 타입은 Map<Person, Integer>> 이다.

 

Map 의 Value 값을 다른 타입으로 리턴하기

var result5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getPersonJob, mapping(Person::getName, joining(",", "[", "]"))));

groupingBy 의 downStream 을 통해 Map 의 value 값을 다른 타입으로 리턴할 수 있다. 위 처럼 기본 컬렉션 타입은 toSet, toList, toMap, toConcurrentMap, toCollection 으로 static 메서드를 제공하지만 그 이외의 타입은 mapping 메서드를 통해 다른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mapping(Function<? super T,? extends U> mapper, Collector<? super U,A,R> downstream) 원형을 살펴보면 groupingBy 의 2개 인자를 받는 함수 원형과 같다. 똑같이 Key 를 분류하는 함수와 value 를 집계하기 위한 함수를 제공하면 된다.

 

Map<PersonJob, String> 객체로 리턴된다. Value 가 집계될 때 "[" "]" 로 감싸서 값들을 , 콤마로 묶는다.

 

Map 을 다른 타입으로 리턴하기

var result6 = getPersons().stream().collect(groupingBy(Person::getPersonJob, () -> new EnumMap<>(PersonJob.class), toList()));

EnumMap<PersonJob, List<Person>> 객체로 리턴된다. 세 가지 인수를 받을 때는 두 번째 인자가 MapFactory 이고 세 번째 인자가 downstream 이다. mapFactory 가 Supplier 이므로 인자가 없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 -> new 형식으로 새로운 Map 타입으로 리턴하면 된다.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타입 토큰과 슈퍼 타입 토큰이란?  (0) 2022.10.10
반응형

1. 문제요약

코딩테스트 연습 - 미로 탈출 명령어 | 프로그래머스 스쿨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x, y)에서 (r, c)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총 k여야 합니다. 이때, (x, y)와 (r, c)격자를 포함해, 같은 격자를 두 번 이상 방문해도 됩니다. 미로에서 탈출한 경로를 문자열로 나타냈을 때, 문자열이 사전 순으로 가장 빠른 경로로 탈출해야 합니다.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이 문자열로 바꿀 수 있습니다.

l: 왼쪽으로 한 칸 이동
r: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u: 위쪽으로 한 칸 이동
d: 아래쪽으로 한 칸 이동

 

출발 위치, 도착 위치, 총 거리 K 가 주어질 때, 미로를 탈출하기 위한 경로를 구하시오.

 

2. 문제예제

문제 지문에 잘 나와있으므로 생략한다.

 

3. 팩트추출

Fact 1 : 사전 순으로 출력되려면 항상 d => l => r => u 순으로 탐색해야 한다. 지금 탐색 순서가 실패하면 아래 단계 순번으로 탐색하다가 다시 윗 단계 순번으로 탐색해야 한다.

 

Fact 22차원 배열로 구성되어 있는 그래프를 탐색하는데 위와 같이 특정한 조건이 존재하면 DFS 로 탐색하는 것이 좋다.

특정한 조건이란, 모두 비교하지 않고 도착이 가능한 형태인지 체크하는 문제이거나, 체인 형태로 탐색하는 순서(조건 존재)가 있는 경우이다. 해당 문제와 같이 실패했을 때도 탐색하는 순서가 정해져있다면 금상첨화다.

 

Fact 3 : 가지치기를 할 수 있다. 현재 위치에서 도착 위치까지 남은 거리와 남은 k 가 같은 짝수이거나 홀수이어야 한다. 짝 /홀이 다르다면, 어차피 도착을 못 하기 때문에 더 이상 탐색할 필요가 없다.

 

4. 문제전략

d => l => r => u 순서로 dfs 탐색하고 현재 위치에서 도착 위치까지 남은 거리와 남은 k 거리를 비교한다.

 

5. 소스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 d, l, r, u 순으로 탐색
    private static final int[] dx = { 1, 0, 0, -1};
    private static final int[] dy = { 0, -1, 1, 0};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erm = {"d", "l", "r", "u"};
    private static int mapX, mapY;
    private static int endX, endY;
    private String tempAnswer = "";

    public boolean dfs(int x, int y, int k, String str, int diff) {
        if(k==0 && diff==0){
            tempAnswer = str;
            return true;
        }
        for (int i = 0; i < 4; i++) {
            int nextX = x + dx[i];
            int nextY = y + dy[i];
            if(nextX >=0 && nextY >= 0 && nextX < mapX && nextY < mapY && diff<=k) {
                if ((diff % 2 == 0 && k % 2 ==0) || (diff % 2 == 1 && k % 2 ==1)) {
                    if (dfs(nextX, nextY, k - 1, str + term[i], Math.abs(nextX - endX) + Math.abs(nextY - endY))) {
                        return true;
                    }
                }
            }
        }
        return false;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m, int x, int y, int r, int c, int k) {
        String answer;
        mapX = n;
        mapY = m;
        endX = r-1;
        endY = c-1;
        int diff = Math.abs((r-1)-(x-1)) + Math.abs((c-1)-(y-1));
        dfs(x-1, y-1, k, "", diff);
        if(tempAnswer.equals("")){
            answer = "impossible";
        } else {
            answer = tempAnswer;
        }
        return answer;
    }
}
반응형
반응형

커링은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가진 함수를 단일 인수를 갖는 함수들의 함수열로 바꾸는 기법을 말한다.

이 커링 기법을 사용하면, 인자들을 지금 현재 다 받지 않아도 함수 형태로 계속 전달할 수 있고, 인자들을 쪼갤 수 있어 공통 인자가 있는 함수들을 그 인자를 생략한 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ommon => func1(a, common);

common => func2(b, common);

common => func3(c, common);

 

이렇게 세 함수가 같은 인자를 받아 실행하는 함수라면 커링을 통해 common 을 생략하고 바로 부를 수 있다.

 

func1(a);

func2(b);

func3(c);

 

이외에도 인자의 갯수가 줄어 unit test 가 편리하고 가독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커링 함수를 자바스크립트 버전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onst curry = func => function curried(...args) {
    if (args.length >= func.length) return func.apply(this, args);
    return (...args2) => curried.apply(this, args.concat(args2));
};

 

간단하다.

원래 함수의 인자가 모두 들어오기 전까지는 지금까지의 인자들을 더해 Wrapper 함수로 전달 후 Wrapper 함수를 리턴하고 모든 인자가 들어오면 원래 함수를 호출한다.

반응형

'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일급함수  (0) 2023.02.10
[JS] 비동기 클린 코드과 에러 핸들링  (0) 2023.02.02
반응형

일급함수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함수이다. (함수를 값으로 다룰 수 있다라는 말과 동치)

 

일급객체

변수에 할당할 수 있고, 함수의 인자나 함수의 리턴값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객체를 일급객체라고 말한다.
즉 객체를 값으로 다룰 수 있다.

 

일급함수는 함수가 다른 일급객체(변수)와 동일하게 다루어 질 수 있다는 말이다. 즉 함수가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 함수의 결과값으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const returnFunc = () => () => 1;
console.log(returnFunc) // 함수의 인자로 함수가 사용된 모습이다.
console.log(returnFunc()); // () => 1; 함수가 출력됨

// 만들어진 함수를 변수로 담을 수 있다.
const wrapper = returnFunc();
console.log(wrapper); // () => 1; 함수가 출력됨

 

이렇게 함수가 변수로 사용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1. 즉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지연 실행을 지원한다.

2. 함수의 합성을 통해 고차 함수(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실행하는 함수), 클로저 등을 만들 수 있다.

 

const apply = f => f(1);
const add10 = a => a+10;

console.log(apply(add10)); // 함수의 합성~! 11
console.log(apply(a => a - 1)); // 직접 함수를 인자로 전달하여 함수를 합성할 수도 있다. 0

 

클로저란, 함수 내부에서 외부 변수를 기억하고 있는 구조를 클로저라고 한다.
(인수와 함수 모두를 통틀어 클로저라고 부른다.)

 

// 클로저
const addMaker = a => b => a + b;
const add10 = addMaker(10);

log(add10(5)); // 15
log(add10(10)); // 20

 

함수가 조합과 추상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고차 함수를 통해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진다. 다른 OOP 언어에서는 자바 언어의 함수형 인터페이스(Supplier, Predicate, Consumer, Function) 들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반응형

'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커링함수  (0) 2023.02.12
[JS] 비동기 클린 코드과 에러 핸들링  (0) 2023.02.02
반응형

1. 문제

코딩테스트 연습 - 표 병합 | 프로그래머스 스쿨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2. 팩트추출

Fact 1 : merge 커맨드와 unmerge 커맨드 보자마자 union-find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update 커맨드로 부모를 찾아 (집합 우두머리) 변경하고 merge, unmerge 커맨드로 부모 변수를 조정하면 끝이다.

 

3. 문제전략

union-find 자료구조!

 

4. 소스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parent = new int[2501];
    public String[] value = new String[2501];

    //UNION-FIND 알고리즘
    public int find(int a) {
        if (parent[a] == a)
            return a;
        else
            return parent[a] = find(parent[a]);
    }

    public void union(int a, int b) {
        a = find(a);
        b = find(b);
        if (a != b)
            parent[b] = a;
    }

    //좌표를 번호로 변환
    public int convertNum(int x, int y) {
        int result = 50 * (x - 1);
        return result + y;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commands) {
        //초기화
        for (int i = 1; i <= 2500; i++) {
            parent[i] = i;
            value[i] = "";
        }

        //명령어 실행
        List<String> result = new ArrayList<>();
        for (int ind = 0; ind < commands.length; ind++) {
            String line = commands[ind];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line);
            String command = st.nextToken();

            if ("UPDATE".equals(command)) {
                //UPDATE value1 value2
                if (st.countTokens() == 2) {
                    String before = st.nextToken();
                    String after = st.nextToken();
                    for (int i = 1; i <= 2500; i++) {
                        if (before.equals(value[i]))
                            value[i] = after;
                    }
                }
                //UPDATE x y value
                else {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ring after = st.nextToken();
                    int num = convertNum(x, y);
                    value[find(num)] = after;
                }
            } else if ("MERGE".equals(command)) {
                int x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x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1 = convertNum(x1, y1);
                int n2 = convertNum(x2, y2);
                int root1 = find(n1);
                int root2 = find(n2);
                //0. 같은 그룹이면 무시
                if (root1 == root2) continue;
                //1. 값을 가진쪽으로 병합
                String rootString = value[root1].isBlank() ? value[root2] : value[root1];
                value[root1] = "";
                value[root2] = "";
                union(root1, root2);
                value[root1] = rootString;
            } else if ("UNMERGE".equals(command)) {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um = convertNum(x, y);
                int root = find(num);
                String rootString = value[root];
                value[root] = "";
                value[num] = rootString;
                List<Integer> delete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1; i <= 2500; i++) {
                    if (find(i) == root)
                        deleteList.add(i);
                }
                for (Integer t : deleteList)
                    parent[t] = t;
            } else if ("PRINT".equals(command)) {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y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um = convertNum(x, y);
                int root = find(num);
                if (value[root].isBlank())
                    result.add("EMPTY");
                else
                    result.add(value[root]);
            }
        }
        return result.toArray(new String[0]);
    }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