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Segment Tree

값이 변하는 연속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값이 변하지 않는다면 구간합을 한 번 연산하고, 계속 질의하면서 쿼리에 대한 결과값을 가져오면 되는데 중간에 있는 값이 변하게 된다면 다시 구간합을 구해야 하므로 O(N) 시간만큼 시간 복잡도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조회, 수정 시에도 O(lgN) 시간만큼 줄일 수 있는 자료구조가 필요했다.

일반적인 세그먼트 트리는 입력되는 값 범위의 트리 높이만큼 계산하기 때문에 (N개의 원소가 있을 구현에 따라) 2배에서 4배정도의 추가 공간이 필요하지만 원소의 변경, 특정 범위 내의 연산을 logN 수행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관점에서 보면 트리는 아래처럼 구성된다.

 

인덱스 관점에서 보면 트리는 아래처럼 구성된다.

 

트리의 인덱스가 0 이 아닌 1 인 이유는부터 시작할 때 좌측부터 차례로 인덱스를 부여하면 아래 공식이 성립한다.

 

좌측 노드 인덱스 = 부모 노드 인덱스 * 2 (짝수)

우측 노드 인덱스 = 부모 노드 인덱스 * 2 + 1 (홀수)

 

반대로, 데이터는 1 노드부터 전체 구간의 합이 적재되고, 내려오면서 반씩 범위가 쪼개져 구간의 합이 표시된다.

이진 탐색 트리 연산이므로 Top-Down 방식으로 이분할하여 데이터를 수정하고 조회하면 된다.

 

<템플릿>

class SegmentTree {
    static long[] tree;
    int treeSize;

    public SegmentTree(int arrSize){
        int h = (int) Math.ceil(Math.log(arrSize)/ Math.log(2));
        this.treeSize = (int) Math.pow(2,h+1);
        tree = new long[treeSize];
    }

    // 초기화와 수정을 update 에서 동시에
    static void update(int node, int index, int updateValue, int left, int right) {
        // 기저사례 (구간에 index 가 없는 경우)
        if (index < left || index > right)
            return;

        // 기저사례 (마지막 구간에 index 가 있는 경우)
        if (left == right) {
            tree[node] = updateValue;
        }

        tree[node] += updateValue;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update(node * 2, index, updateValue, left, mid);
        update(node * 2 + 1, index, updateValue, mid+1, right);
    }

    static void long query(int node, int startIndex, int endIndex, int left, int right){
        //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if (endIndex < left || startIndex > right)
            return 0;

        // 기저사례 (마지막 구간에 index 가 있는 경우)
        if (endIndex >= right && startIndex <= left) {
            return tree[node];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return query(node*2, startIndex, endIndex, left, mid) + query(node*2 + 1, startIndex, endIndex, mid+1, right);
    }
}

 

2. Dynamic Segment Tree

일반적인 세그먼트 트리는 보통 입력 범위의 4배에 달하는 공간을 미리 할당한 , 모두 업데이트한다. (위 세그먼트 트리 참고) 입력의 범위만큼 모든 영역(logN) 업데이트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는 공간까지 낭비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Dynamic Segment Tree 이름에서도 있듯이 노드가 필요할 때만 생성해서 만들기 때문에 공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값을 없데이트할 때 mid 노드의 자식 노드가 없는 경우 노드를 동적으로 생성해준다는 점이 다르다. 구간에 대한 쿼리 로직은 자식이 없는 경우만 예외처리해주면 일반적인 세그먼트 트리와 동일하다.

 

<템플릿>

static class SegmentTree {
    static class Node {
        long value;
        Node leftChild, rightChild;
    }

    static Node getNode() {
        Node temp = new Node();
        temp.value = 0;
        temp.leftChild = null;
        temp.rightChild = null;
        return temp;
    }

    static void initTree(Node node, int index, long updateValue, int left, int right) {
        // 기저사례 (구간에 index 가 없는 경우)
        if (index < left || index > right)
            return;

        // 기저사례 (마지막 구간에 index 가 있는 경우 (수정할 필요 없는 경우 값 셋팅))
        // 초기화 과정이 없기 때문에 필요
        if (left == right) {
            node.value = updateValue;
            return;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long leftSum = 0, rightSum = 0;

        if (index <= mid) {
            if (node.leftChild == null) {
                node.leftChild = getNode();
            }
            update(node.leftChild, index, updateValue, left, mid);
        } else {
            if (node.rightChild == null) {
                node.rightChild = getNode();
            }
            update(node.rightChild, index, updateValue, mid+1, right);
        }

        if (node.leftChild != null)
            leftSum = node.leftChild.value;
        if (node.rightChild != null)
            rightSum = node.rightChild.value;
        node.value = leftSum + rightSum;
    }

	static void updateRange(Node node, long updateValue, int updateStart, int updateEnd, int left, int right) {
        //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if (updateEnd < left || updateStart > right)
            return;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updateRange(node.leftChild, updateValue, updateStart, updateEnd, left, mid);
        updateRange(node.rightChild, updateValue, updateStart, updateEnd, mid + 1, right);
        node.value = node.leftChild.value + node.rightChild.value;
    }
        
    static void int query(Node node, int startIndex, int endIndex, int left, int right){
        // 기저사례 (할당되지 않은 경우)
        if (node == null)
            return 0;
        //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if (endIndex < left || startIndex > right)
            return 0;

        // 기저사례 (마지막 구간에 index 가 있는 경우)
        if (endIndex >= right && startIndex <= left) {
            return node.value;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return query(node.leftChild, startIndex, endIndex, left, mid) + query(node.rightChild, startIndex, endIndex, mid+1, right);
    }
}

 

3. Dynamic Segment Tree (+ Lazy Propagation)

( 아무리 구글에 검색해봐도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는 Dynamic Segment Tree 와 연산을 줄이는 Lazy Propagation 을 같이 사용하는 코드가 없었다... 특히 Java 는 더욱 없었다. 그래서 내가 쓰려고 템플릿을 만들었다. )

 

Dynamic Segment Tree 에서 값을 업데이트할 때 자식노드들도 모두 변경하는데 굳이 지금 당장 자식노드의 조회나 수정이 필요 없는 경우라면 트리를 순회하면서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다. lazy 라는 변수를 하나두고, 그 변수에 업데이트할 변수를 저장한 다음 나중에 조회하거나 수정할 때 한 단계씩 자식에게 전파하면 된다. 그래서 이름이 느린 전파이다.

 

업데이트 하고자 하는 범위를 updateStart, updateEnd 라고 할 때, 자식노드를 순회하면서 left, right 탐색 범위가 업데이트 하고자 하는 범위에 완전히 포함된다면 자식노드를 방문하지 lazy 값만 자식노드에게 전파한뒤 종료한다. 자식 노드들을 방문하지 않는다.

 

<템플릿>

static class SegmentTree {
    static class Node {
        long value;
        long lazy;
        Node leftChild, rightChild;
    }

    static Node getNode() {
        Node temp = new Node();
        temp.value = 0;
        temp.lazy = 0;
        temp.leftChild = null;
        temp.rightChild = null;
        return temp;
    }

    static void updateLazy(Node node, int left, int right) {
        // 만약 현재 노드에 lazy 값이 있다면
        if (node.lazy != 0) {
            // 만약 자식이 있다면 자식들에게 lazy 값을 전파한다.
            if (node.leftChild != null) {
                node.leftChild.lazy += node.lazy;
            }
            if (node.rightChild != null) {
                node.rightChild.lazy += node.lazy;
            }
            // 현재노드 업데이트 ( 부모노드이므로 구간 길이만큼 업데이트 )
            node.value += node.lazy * (right - left + 1);
            // lazy 값을 업데이트했으므로 0으로 만들어준다.
            node.lazy = 0;
        }
    }

    // 초기화
    static void initTree(Node node, int index, long updateValue, int left, int right) {
        // 기저사례 (구간에 index 가 없는 경우)
        if (index < left || index > right)
            return;

        // 기저사례 (마지막 구간에 index 가 있는 경우 (수정할 필요 없는 경우))
        // 초기화 과정이 없기 때문에 필요
        if (left == right) {
            node.value = updateValue;
            return;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long leftSum = 0, rightSum = 0;

        if (index <= mid) {
            if (node.leftChild == null) {
                node.leftChild = getNode();
            }
            initTree(node.leftChild, index, updateValue, left, mid);
        } else {
            if (node.rightChild == null) {
                node.rightChild = getNode();
            }
            initTree(node.rightChild, index, updateValue, mid + 1, right);
        }

        if (node.leftChild != null)
            leftSum = node.leftChild.value;
        if (node.rightChild != null)
            rightSum = node.rightChild.value;
        node.value = leftSum + rightSum;
    }

    static void updateRange(Node node, long updateValue, int updateStart, int updateEnd, int left, int right) {
        updateLazy(node, left, right);
        //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if (updateEnd < left || updateStart > right)
            return;

        // 기저사례 (업데이트 구간이 완전히 포함되는 경우)
        if (updateEnd >= right && updateStart <= left) {
            node.value += (updateValue * (right - left + 1));
            if (node.leftChild != null) {
                node.leftChild.lazy += updateValue;
            }
            if (node.rightChild != null) {
                node.rightChild.lazy += updateValue;
            }
            return;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updateRange(node.leftChild, updateValue, updateStart, updateEnd, left, mid);
        updateRange(node.rightChild, updateValue, updateStart, updateEnd, mid + 1, right);
        node.value = node.leftChild.value + node.rightChild.value;
    }

    static long query(Node node, int queryStart, int queryEnd, int left, int right) {
        updateLazy(node, left, right);
        // 기저사례 (할당되지 않은 경우)
        if (node == null)
            return 0;

        //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if (queryEnd < left || queryStart > right)
            return 0;

        // 기저사례 (쿼리 구간이 완전히 포함되는 경우)
        if (queryEnd >= right && queryStart <= left) {
            return node.value;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return query(node.leftChild, queryStart, queryEnd, left, mid) + query(node.rightChild, queryStart, queryEnd, mid + 1, right);
    }
}

 

Q . updateRange 와 Query 함수에서 updateLazy 를 가장 먼저 호출해야 되는 이유?

A . 해당 템플릿이 완성되기 전, 구간에 쿼리 구간이 없는 경우 updateLazy 를 할 필요가 없지 않나? 라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기저사례 (구간에 쿼리구간이 없는 경우)" 로직 뒷 부분에 updateLazy 를 배치하고 최적화를 잘 했다며 만족했었다.

 

 

그런데, Lazy Propagation 의 대표문제인 백준 10999 문제를 풀어보니 모두 틀렸다고 나오는 것이었다. 게시판에서 언급하고 있는 반례 케이스들은 모두 맞았는데 안 되니까 답답할 노릇이었다. 잘 생각해보면 잘못된 생각이었다.

 

만약 부모 노드에 lazy 값이 있는데 자식 노드가 범위를 벗어난다면 lazy 를 전파받지 못하고 계산이 되기 때문이다. 꼭 query 와 update 할 때 updateLazy 를 먼저 호출하자.

반응형
반응형

BFS 알고리즘은 넓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이며, DFS 알고리즘은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이다.

 

<템플릿>

 

public static void bfs(int start) {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q.offer(start);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start] = true;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q.isEmpty()) {
            //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
            int x = q.poll();
            // 해당 원소와 연결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
            for(int i = 0; i < graph.get(x).size(); i++) {
                int y = graph.get(x).get(i);
			  // if 제어문의 반복
			  // if(visited[y]) continue;
                q.offer(y);
                visited[y] = true;
            }
        }
    }

 

public static void dfs(int x) {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x] = true;
        System.out.print(x + " ");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nt i = 0; i < graph.get(x).size(); i++) {
            int y = graph.get(x).get(i);
            if (!visited[y]) dfs(y);
        }
    }
반응형
반응형

Two Pointer 알고리즘이란,
두 개의 포인터를 조정하면서 정답 조건들을 찾아가는 알고리즘이다.

 

<템플릿>

def two_pointer (array) {
    start, end = 각 포인터 시작 지점;
    /* 순회 배열에 첫 번째 값 넣기 */

    반복문 ( start < start 방향 한계 and end < end 방향 한계 ) {
        If ( /* 포인터들의 이동으로 정답조건이 되었을 경우 */ ) {
            /* 답 갱신 */
            /* start 포인터 지점과 관련한 변수 계산 부분 초기화 */
            /* start 포인터 증가 */
        } else { /* 포인터들의 이동으로 정답조건이 되지 않았을 경우 */
        	/* end 포인터 증가와 end 포인터 증가로 인해 index 예외처리 */
            /* end 포인터 지점과 관련한 변수 계산 부분 업데이트 */
        }
    }
}

 

이 템플릿에서 주의할 점은 start 와 end 포인터가 보통 0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항상 else 구문부터 시작한다.

end 가 마지막 포인터에 다 다르면 정답조건이 되었는지 비교해야 하는데 그 때에도 순회 배열에 값을 넣고 있다. 그래서 먼저 순회배열에 첫 번째 아이템을 넣고 else 구문에는 end 포인터를 미리 증가하여 2번째 아이템을 넣기 시작해야 end 포인터가 마지막 차례일 때 정답조건이 되었는지 비교할 수 있다.

 

이 템플릿 말고 인덱스를 신경쓰기 싫어 무한 반복문 안에서 break 구문을 써 빠져 나오는 템플릿도 있다.

반응형

'알고리즘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Segment Tree  (0) 2022.08.29
[알고리즘] BFS & DFS  (0) 2022.07.12
[알고리즘] LCA (Lowest Common Ancestor)  (0) 2022.05.04
[알고리즘] DP (Dynamic Programming)  (0) 2021.05.10
반응형

LCA 알고리즘이란,

트리 상의 정점 U 와 V 가 주어질 때 U 와 V 에서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LCA 그래프 예시 (사실 많은 블로그에서 루트 노드는 1로 설정되어 있음)

 

위 LCA 그래프 예시에서 24 와 26 의 LCA (최초 조상) 은 5 이다.

 

어떻게 조상을 찾는 것일까?

조상을 찾는 방법을 step-by-step 으로 표현한다면 다음과 같다.

 

0 . U 노드와 V 노드를 정한다. (깊이가 더 큰 노드를 V로 정한다.)

1 . U 노드의 깊이와 V 노드의 깊이가 같아질 때까지 깊이가 더 깊은 노드(V)를 자신의 조상으로 바꾸어 준다.

2 . U 노드와 V 노드의 조상이 같아질 때까지 자신의 조상으로 바꾸어 준다.

 

1 번 과정, 2 번 과정 모두 한 단계씩 조상을 올리게 되면 O(N) (깊이를 N이라 두었을 때) 의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조금 더 빠르게 트리를 탐색하기 위해 $2^{x}$ 번째에 해당하는 부모만 기억하고 중학교 때 배운 아래 지수법칙

$2^{x+1}=2^{x}*2$ 수식을 활용한다. 수식에서 * 2 부분을 만족하려면 조상노드를 한 번 더 그 크기만큼 올라가야 한다. 

 

따라서,

u 노드의 $2^{x}$ 번째에 해당하는 부모를 parent[u][x] 라고 할 때, parent[u][x] = parent[parent[u][x-1]][x-1] 라는 점화식이 성립한다. 점화식이 만들어졌으니 Bottom-Up DP 로 parent 테이블을 만들어주면 된다.

 

총 루틴 정리

알고리즘의 중요 부분은 모두 나왔다. 총 루틴을 정리해보자.

 

1 . 그래프의 깊이를 구한다.

이 LCA 에서 사용하는 트리는 이진 트리이므로 높이는 log2(N) + 1이다. 여기서 N은 총 그래프 노드의 개수.

(int)Math.ceil(Math.log(n)/Math.log(2)) +1;

 

2 . DFS 로 순회하면서 depth 배열과 parent[][0] 배열을 초기화한다.

 

3 . parent[x][y] 배열을 셋팅한다.

parent[x][y] = parent[parent[x][y-1]][y-1] 점화식이 성립하고 미래 값을 먼저 구하지 않아도 되므로 Bottom-up DP 로 구할 수 있다.

 

4 . LCA(a, b) 에서 b 가 더 깊도록 a 와 b 를 서로 바꾼다.

 

5 . b 깊이가 a 깊이와 같도록 부모 배열을 활용해 자신의 조상으로 바꾼다.

 

6 . 현재 부모가 같다면 리턴.

 

7 . 조상이 같을 때까지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기. 부모가 같다면 그 조상을 리턴.

 

자바 코드

자바코드는 다음과 같다.

public static class LCA {
    private int nodeCount;
    private List<Integer>[] adjacencyList;
    private int treeHigh;
    private int[] depth;
    private boolean[] memoization;
    private int[][] parent;

    public LCA(int nodeCount, List<Integer>[] adjacencyList) {
        this.nodeCount = nodeCount;
        this.adjacencyList = adjacencyList;
        this.memoization = new boolean[nodeCount+1];
        this.depth = new int[nodeCount+1];
        getTreeHigh();
        this.parent = new int[nodeCount+1][this.treeHigh];
    }

    private void getTreeHigh() {
        this.treeHigh = (int)Math.ceil(Math.log(nodeCount)/Math.log(2)) + 1;
    }
    private void init(int current, int treeHigh) {
        memoization[current] = true;
        depth[current] = treeHigh;
        for (int next : adjacencyList[current]) {
            // 메모이제이션
            if(memoization[next]) continue;
            init(next, treeHigh+1);
            parent[next][0] = current;
        }
    }
    private void makeParentArray() {
        for(int i=1; i<treeHigh; i++) {
            for(int j=1; j<nodeCount+1; j++) {
                parent[j][i] = parent[parent[j][i-1]][i-1];
            }
        }
    }
    public int run(int a, int b) {
        init(1,1);
        makeParentArray();
        // b 가 더 깊도록 설정
        if (depth[a] > depth[b]) {
            int temp = a;
            a = b;
            b = temp;
        }
        // 깊이가 동일하도록 b 를 옮김
        for (int i = treeHigh-1; i>=0; i--) {
            if ((1<<i) <= depth[b] - depth[a]) {
                b = parent[b][i];
            }
        }

        if(a==b) return a;

        for(int i=treeHigh-1; i>=0; i--) {
            if (parent[a][i] != parent[b][i]) {
                a = parent[a][i];
                b = parent[b][i];
            }
        }
        return parent[a][0];
    }
}

 

반응형

'알고리즘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Segment Tree  (0) 2022.08.29
[알고리즘] BFS & DFS  (0) 2022.07.12
[알고리즘] 투 포인터 알고리즘 (Two Pointer)  (0) 2022.06.29
[알고리즘] DP (Dynamic Programming)  (0) 2021.05.10
반응형

1 . DP 조건

① . Overlapping Subproblem : 분할된 작은 문제들이 겹치면서 중복된다.

② . Optimal Structure : 분할된 작은 문제의 최적해들을 결합하면 전체 문제의 최적해가 된다.

 

2 . DP 특징

. DP 문제를 작게 나누어 최종 문제를 조건부 점화식을 통해 구현할 있을 가장 이상적이다.

. 작은 문제의 답이 중복되지 않는 구조라면 DP 비효율적일 있다.

. 분할정복과 동적계획법은 작은 문제로 분할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분할정복은 작은 문제의 답을 활용하지 않는 반면에 동적계획법은 분할된 문제들의 답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3 . DP 풀이 방식

DP 를 풀이하는 방법에는 top-down 과 bottom-up 방식이 있다.

. top-down (Memoization) : 시작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로 내려가며 최종 답을 점화식을 통해 먼저 구현하 중간 중간 작은 문제들의 답을 구해 문제를 푼다. 중간 작은 문제들의 답은 DP 특성 중복되기 때문에 결과 값을 저장하여 바로 로드한다. 보통 재귀와 lookup table 사용하며 프로그램 스택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bottom-up (Tabulation) : 마지막 위치에서 시작 위치로 올라가며 작은 문제들의 답을 풀어가면서 최종 답을 구한다. 보통 반복문으로 구성된다.

( 3-1 3-2 에서 정의한 "시작 위치" "마지막 위치" 문제 풀이를 하기 위한 탐색 경로 상의 위치이다.)

.  방식 모두 무한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기저사례가 필요하다. 기저사례는 이전 항들로 표현되지 않는 상태의 값을 의미한다.

 

4 . 재귀 함수의 구간 별 의미

def recursive (index, output) {
	If ( 탈출 조건 with index ) {
		재귀함수에서 빠져 나와야 하는 기저사례
	}
	
	반복문 ( 부모가 여러 개 있을 경우 반복문 사용함. 부모가 한 개나 두 개인 경우 필요 없음 )
	{
		If ( /* 탐색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들 */ ) continue
		recursive 함수 호출 (자식 탐방일 수 있고 상대 탐방일 수 있다)
	}
	부모로 돌아갈 때마다 해야될 일 (보통은 부모의 상태로 복원해야 하는 코드)
    해당 경우의 수 마지막 부분까지 온 경우이므로 마지막 자식 호출하고 난 다음에 해야될 일 (보통 계산)
}

 

반응형

+ Recent posts